이번 졸업프로젝트 스타트13팀에서 나는 안드로이드(프론트엔드)부분을 담당하기로 했다 (+ 그래픽적인 요소)
그래서 오늘부터는 현재 졸업프로젝트에서 개발하고 있는 <magicbox>에서 안드로이드 부분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이 블로그에 기술하기로했다
첫시작은 역시 안드로이드에서 새프로젝트를 만들고 이를 깃허브에 올려놓는 방법으로 시작하려고한다.
팀 단위로 프로젝트를 할 때는 각자 개발하는 부분을 그때그때 공유하기 위해서 깃허브를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한다. 깃허브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현재 프로젝트 파일들( 안드로이드라면 .java, src파일 등등)을 올려놓는 웹사이트이다. 중요한점은 남들과 같이 보거나 편집할 수 있다는점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직접적으로 연결해서 바로바로 업데이트해놓을 수 있다는점! 버전 컨트롤하기에도 좋다.
+ 본인 포트폴리오처럼 사용도 가능하다. (지금까지 공부한거, 프로젝트한거에 대한 시각적인 증거랄까)
1.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새 프로젝트 만들기
우선 처음 안드로이드와 깃허브를 연동할때는 1)깃허브 계정만들기 2)git 다운받기 3) 안드로이드 스튜이도에서
vcs > Enable Version Control Intergration으로 깃 연동하기 과정을 거쳐야하는데 나는 이미 깃허브를 연동해놔서...
안드로이드 깃허브 연동 & 올리기
0. 서론 2019년 1월 7일, 깃허브 블로그에 엄청난 소식이 있었습니다. 깃허브의 private repos를 3명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소식입니다. 이렇게 되면 혼자서 개발하는 개발자들은 클라우드 환경
gamjatwigim.tistory.com
이분의 티스토리를 참고하면 될거같다.
내가 전에 깃허브에 올리려고 시도하면서 완전 헤매던게 있었다. > 내 컴퓨터 내부에서의 repository를 상위파일로 잡아서 커밋하고 푸시가 프로젝트끼리 완전히 섞여버려서 다시 떼어내고 깃허브에 올리느라 진짜 고생했다. 깃허브 쓴지 얼마 안되서 아직도 조금 헤매는거같다...더 시도해봐야지
1. 저 경로대로 누르면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다.
2. 왠만하면 empty activity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.
이런식으로 생성된 모습을 볼 수 있다. 왼쪽에는 해당 프로젝트의 파일들을 보여주고있다. 간단히 설명하자면 MainActivity와 같은 파일들은 자바파일로, 실질적인 이벤트 작성시에 쓰이고, activity_main같은 xml파일들은 앱의 화면구성을 짤때 사용된다고 생각하면된다.
이제 만들었으니, 깃허브에 코드를 올려보자.
일단, 깃허브에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어 프로젝트를 공유하자. 저 경로대로 누르면 된다.
repository이름 정하고 share하면 끝!
그리고 컴퓨터 내부 repository가 꼬였거나 새로운걸 만들고싶을때 저 경로에서 > create git repository 선택하면된다.
어디에 repository가 만들어질건지 선택가능하다. 공유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파일 밑에 만들어주자. 나는 실수로 androidstudioprojects에다가 만들어서 골치가 아파졌다...
이런식으로 vcs루트가 바뀌게 된다.
그 후에 왼쪽 파일들을 git에다가 add해주고, commit및push를 해준다!
push하려고하면 어떤 github repository에 push할건지 설정가능하다. 아까 생성했던 깃허브 repository url가져와서 여기다가 붙여넣어주자.
그럼 이렇게 이어지고 push하면 끝!
깃허브 홈페이지 가보면 잘 나와있는걸 볼 수 있다 :D
예시로 현재 졸업프로젝트 깃허브를 보여주자면 이와같다.
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끝! 다음에는 기본적인 레이아웃 구성을 해볼것이다.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졸업프로젝트 개발일지] 안드로이드 심화 - 서버와 협업하는 앱 만들기 (0) | 2021.01.29 |
---|---|
졸업프로젝트 스타트13팀 안드로이드 구현 & 학습 (0) | 2020.12.08 |
magicbox앱 코드로 이벤트 배우기 (0) | 2020.11.21 |
레이아웃 구성하기 (0) | 2020.11.21 |